
요즘 맞벌이 가정 정말 많죠?
일도 해야 하고, 아이도 키워야 하고… 진짜 몸이 두 개라도 모자란 게 현실입니다.
특히 어린 자녀가 있는 집은 더 그렇죠.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시간은 짧고, 회사는 6시 이후 퇴근인데
아이 혼자 두는 건 불안하고, 조부모님 도움받기도 어렵고...
그럴 때 정말 큰 힘이 되는 게 바로 **정부의 ‘아이돌봄서비스’**입니다!
정부에서 전문 교육을 받은 아이돌보미를 가정에 직접 보내주고,
소득에 따라 서비스 요금도 지원해주기 때문에
많은 맞벌이·한부모 가정에서 이미 활용하고 있어요.
그런데 의외로 “그게 뭔데?”, “신청 어떻게 해?” 모르는 분들도 많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2025년 기준 아이돌봄서비스의 모든 것!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1️⃣ 아이돌봄서비스란? 정부가 운영하는 ‘공공 돌봄’
아이돌봄지원사업은 말 그대로,
정부가 아이 돌봐줄 사람을 보내주는 서비스예요.
✔️ 대상은?
→ 만 3개월~12세 이하 아동이 있는 가정이라면 누구나 가능!
✔️ 누가 돌봐주나요?
→ 국가가 인증한 전문 교육을 받은 **‘아이돌보미’**가
1:1로 집에 방문해서 아이를 돌봐줘요.
✔️ 언제 이용할 수 있나요?
→ 평일은 물론 주말, 야간, 공휴일도 OK!
다만 야간/휴일엔 요금이 살짝 더 비쌉니다.
그리고 제일 좋은 건,
보육기관 운영 시간 외에도 사용 가능하다는 점!
즉, 유치원 끝나고부터 엄마 아빠 퇴근 시간까지 돌봄이 필요한
‘틈새 시간’을 메꿔주는 데 딱이에요.
2️⃣ 맞벌이 부모에게 딱 맞는 3가지 서비스 유형
아이돌봄서비스는 부모님의 상황에 따라
**‘시간제’, ‘종일제’, ‘긴급 돌봄’**으로 나뉘어요.
⏱️ 시간제 돌봄
- 하루에 몇 시간만 필요할 때!
- 예: 방과 후, 유치원 하원 후 혼자 있을 시간
- 1회 2시간 이상부터 예약 가능
맞벌이 부모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유형이에요.
🕘 종일제 돌봄
- 하루 8시간 이상 필요할 때!
- 예: 육아휴직 끝나고 복직했는데 어린이집 입소 대기 중
- 전일 돌봄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이게 최고예요.
🚨 긴급 돌봄
- 갑작스럽게 아이 맡길 데가 없을 때!
- 예: 아이가 아프거나, 부모 출장, 병원 예약 등
- 1회성 단기 서비스로 빠르게 요청 가능
📲 예약은 ‘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아이돌봄)**에서도 간편하게 할 수 있어요!
3️⃣ 비용은? 소득 따라 최대 85%까지 정부 지원!
사실 많은 분들이 걱정하는 게 ‘비용’인데요,
아이돌봄서비스는 생각보다 저렴합니다.
그리고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아요.
💰 2025년 기준 기본 요금
- 시간제: 1시간당 12,000원
- 종일제: 1시간당 11,000원
- (야간, 주말, 공휴일은 요금 가산 있음)
🧾 정부 지원율 (시간제 기준)
| 1형 | 75% 이하 | 85% | 약 1,800원/시간 |
| 2형 | 100% 이하 | 75% | 약 3,000원/시간 |
| 3형 | 150% 이하 | 50% | 약 6,000원/시간 |
| 4형 | 200% 이하 | 25% | 약 9,000원/시간 |
| 5형 | 초과 | 0% | 12,000원 (전액 자부담) |
📌 예를 들어, 맞벌이 중위소득 100% 가정이
하루 3시간, 주 5일 이용한다면
월 30시간 = 약 9만 원 정도만 본인 부담이면 됩니다!
✔️ 신청은?
주소지 주민센터 또는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방문하거나,
정부24 → ‘아이돌봄 지원’ 검색해도 가능해요.
1년 단위로 갱신해야 한다는 점도 기억해두세요!
✅ 정리하면?
- 만 3개월~12세 아이 키우는 집이면 누구나 신청 가능
- 맞벌이 부모에게 꼭 필요한 ‘틈새 돌봄’ 가능
- 비용은 소득 따라 최대 85%까지 정부가 부담
- 믿을 수 있는 돌보미가 집으로 와서 1:1로 돌봐줌
- 시간제, 종일제, 긴급까지 상황 맞춤형 서비스!
📌 꼭 기억하세요!
요즘 민간 베이비시터 비용도 만만치 않죠?
그에 비하면 아이돌봄서비스는 훨씬 합리적이고 안전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정부가 검증한 인력이기 때문에
부모님 입장에서 더 안심할 수 있어요.
육아는 혼자 하는 게 아니에요.
이제는 정부가 함께 돌봐주는 시대!
일과 육아 모두 지키고 싶은 부모님이라면
오늘 당장!
거주지 건강가정지원센터나
‘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신청부터 해보세요. 😊